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본문 바로가기
수학/고3 수학 모의고사 문제풀이 ( High Shcool Math )

2019 6월 수학가형 21번 짝수형( 고3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고사 : 모의평가)

by 푸쓰 2019. 9. 15.
반응형

2019 6월 모의고사 수학 가형.pdf
0.48MB
2019 6월 모의고사 수학 가형 답지.pdf
0.04MB

안녕하세요. 푸디헬스입니다.

2018년 6월 7일 목요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주관하에 치러진 시험으로, 수학 가형 1 등급컷은 85점(표준점수 131점)으로 체감 난이도가 상당히 높았던 시험이었습니다.

(다른 과목의 등급컷은 비상에듀 홈페이지에 있습니다.)

 

실력비상! 비상에듀

2018-06-28 12:19 update [6.7 모의평가] 과탐 출제경향 - 2018 수능보다 쉽게 출제 - 개념 이해, 자료 해석 문항 - 기출 시험 제제 위주 출제 [6.7 모의평가] 국어 출제경향 - 2018 수능 체제와 유사한 형태로 출제 - 화법+작문 복합 지문이 4문항 한 세트로 출제 - 독서는 2018 수능과 마찬가지로 6문항/5문항/4문항 3지문 체제 유지 - 문학 2018 수능에 출제된 5문항/4문항/3문항/3문항 4지문 체제 유지 -

ipsi.visang.com

그럼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발문의 순서대로 조건을 해석하며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열린구간에 대해 f(x)가 정의되어 있으므로 f(x)를 먼저 그려보겠습니다. 

그러고 나서 조건 (),()를 보겠습니다.

조건을 살펴보면 t에 따라서 g(t)가 변하고, g(t)k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럼 주어진 f(x)를 관찰하면서 g(t)를 그려보겠습니다. 조건 ()에서 |f(x)t|라고하였으므로  f(x)t만큼 y축으로 평행이동시키고 음수부분을 x축을기준으로 양수쪽으로 뒤집은 그래프입니다. 여기서 미분 가능하지 않은 점을 조사해야 하므로 부분을 조사하면 됩니다.

먼저 t가 아주아주 작을 때 t = -100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면 그래프는 x축 위쪽에 있으므로 미분이 불가능한 부분은 x=π4부분 밖에없습니다. 그럼 g(t)=1입니다.

 

그리고 f(x)x축에 접하는 순간(t = -2일 때)까지 g(t)=1이고 조금 더 g(t)=2가 됩니다.

 

그리고 조건 ()에서 루트가 들어가 있으므로 t=1일 때 점은 3개가 나옵니다.

여기까지 g(t)를대략적으로 그려보면 이와 같이 나옵니다.

여기까지 관찰을 했으면 어디서 미분 불가능한 점이 나오는지 감이 오셨을 겁니다.

원래의 그래프가 이런 모양입니다. 저희는 y값에 초점을 맞추어면서 x축에 꺾이는 점이 생기는지 관찰해야 합니다.

그럼 t=2,1,0,12일때 라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 발문을 보겠습니다.

심지어 발문을 읽어보면 g(22),g(0),g(1)값을 대놓고 구하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저희가 관찰한 것이 맞는구나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c=3이 되고 

t=0일 때 f(x)함수에서 x축을 기준으로 뒤집은 것이므로 g(t)=2=b

t=22일 때 이 그래프를 x축으로 뒤집은 것이므로 x=π4일때 한곳입니다. g(t)=1=a

a=1,b=2,c=3이나 옵니다.

g(t)는 이와 같이 나옵니다.

여기서 h((g(t))는 최고차항이 1이고 연속함수가 되어야 하므로, 구간의 경계인 1,2,3,4에서 즉 h(1)=h(2)=h(3)=h(4)=0이면 성립합니다.

그러면 h(x)=(x1)(x2)(x3)(x4)가되고

h(a+5)h(b+3)+c=h(6)h(5)+3 =(5)(4)(3)(2)((4)(3)(2)(1))+3 = 12024+3=99가 되므로

정답은 ④이 됩니다.

모르시는 게 있거나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9 고3 6월 모의고사 29, 30번 풀이

 

모의고사 - 2019 고3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모의고사) 수학 가형

안녕하세요. 푸디헬스입니다. 시험을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심리적인 요인입니다. 공부를 잘하는 사람도 시험에는 긴장이라는 예측 불가능한 요소가 개입이 되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

foodiehealth.tistory.com

반응형

댓글